블록체인 네트워크
블록체인은 암호화된 거래정보(Transaction)들을 블록 단위로 구성하여 서로 연결한 분산형 디지털 원장 기술이며, 별도의 중개 기관 없이도 신뢰를 보장하고 안전한 거래를 보장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기반 기술이다. 블록체인 인프라는 플랫폼 유저 및 사업자 간의 투명한 가치 교환을 보장하고, 콘텐츠 및 상품의 거래와 유통, 평가 보상 과정에서 사용되는 토큰을 발행하고 국내외 거래소와 교환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플랫폼의 블록체인 구조
ODYA플랫폼 생태계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와 스마트 컨트랙트를 기반으로 하여 탈중앙화 및 위변조가 불가능한 신뢰성 높은 시스템으로 작동된다. 또한 이기종 컴퓨터(Heterogeneous Computer) 상호 간 응용 프로그램의 이식성을 실현하기 위해 이진 호환성(Binary Compatibility, 기계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이 다른 기기에서도 작동하는 성질)을 보증하는 인터페이스 규약인 Contract ABI(Application Binary Interface)를 활용한다.
디지털자산
디지털자산은 전자 데이터 형식으로 존재하는 콘텐츠 등을 말한다.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디지털자산 관리를 탈중앙화 할 수 있으며 중개인, 비신뢰성, 타인에 의한 추적으로부터 자유롭고, 높은 수준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ODYA 플랫폼은 다양한 디지털자산을 지원함으로써 유저는 ODYA 플랫폼 생태계 내에서 자산을 등록하고 거래할 수 있다.
디지털 신분
ODYA 플랫폼 이용자들은 디지털 신분을 부여 받으며, 이러한 디지털 신분은 암호화되고 블록체인에 관리되어 신원을 보장받을 수 있다. ODYA 플랫폼 이용자는 해당 디지털 신분 체계를 활용하여 로그인이 가능하며, 모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활성화에 따른 보상을 받기 위한 모든 이용자의 유동성 제공, 비용지불 및 결제, 거래 등의 내역을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합의 알고리즘
ODYA 플랫폼 생태계는 유저의 활동이력 등을 모두 저장하여 이를 기반으로 평가체계를 구축한다. 이러한 평가 등급이나 점수를 누구나 다 이해할 수 있고 신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더리움 기반의 합의 알고리즘 방식을 활용한다.
ERC-20과 ERC-721
ERC-20
ERC-20은 이더리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정한 표준 토큰 스펙이다. 이더리움 네트워크 상에서 유통할 수 있는 토큰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한 표준 사양이다. ERC-20 토큰은 스마트 컨트랙트의 속성을 지원해야만 한다. ERC-20 기준을 맞춰 디앱(Decentralized Application, DApp)을 설계한 후 토큰을 발행하면, 이더리움과 쉽게 교환할 수 있고, 표준 이더리움 지갑(My Ether Wallet, Meta Mask 등)에 자유롭게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더리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토큰의 경우 ERC-20 기준을 맞춰야 한다.
ERC-721
ERC-721은 이더리움 네트워크 기반 NFT의 표준안으로,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대체할 수 없거나 고유한 토큰을 작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공개 표준이다. ERC-721은 스마트 컨트랙트 내에서 NFT에 대한 표준 API를 구현하며, 이 표준은 NFT를 추적하고 전송하는 기본 함수를 제공하게 된다. ERC-721 표준 인터페이스는 어플리케이션이 이더리움의 모든 NFT와 함께 작동하며 심플한 ERC-721 스마트 컨트랙트와 NFT를 추적하는 컨트랙트를 제공한다.
Last updated